본문 바로가기

일상다반사

[주식] 스캘핑 scalping

스캘핑

주로 주식보다는 선물, 옵션 등 파생거래에서 기관과 외국인 등이 주로 이용하는 기법이다.

초단타 매매. 매수 후 수수료와 세금 등을 제하고 이익이 나면 바로 매도하여 작게라도 이익을 취한다. 하루 안에 청산하는 데이 트레이딩보다 더 짧게 보유하기 때문에 초단타 매매라고 불린다.

불확실성을 최대한 극복하고자 하는 기법이지만, 국내 주식처럼 매매 시마다 세금이 붙는 시장에서는 성공 확률이 낮다.

투자 시간 길이 비교 : 스캘핑 < 데이 트레이딩 < 스윙 <<<< 장기투자 (buy and hold)

 

스캘핑 투자법

분봉을 기준으로 거래량, 양/음봉을 매수 매도 타이밍을 정한다.

기본적 개념

거래량, 거래대금과 양봉, 음봉으로 시작합니다.

거래량이 터진 장대 양봉이면 이후에 있을 단기적인 흐름은 상승이라 판단할 수 있고 거래량이 터진 음봉이면 단기적인 흐름은 하락 추세라 판단할 수 있습니다.

물론 이는 기본적인 개념일 뿐 실제 성공률은 70%가 채 되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만 적어봤습니다.

 

스캘핑 기법의 장점

"적은 투자금"

적은 투자금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. 50만 원의 투자금이 있다고 할 때 1%가 채 되지 않는 수익을 하루에 수십수백 번씩 낼 수 있는 게 스캘핑입니다.

하루에 단 5%만 수익을 낸다고 하더라도 매일 25,000원씩이고 한 달이면 대략 투자금과 비슷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"시황 분석이 필요 없다."

코스피 지수, 코스닥 지수, 시황분석 등 지수와 전혀 상관이 없는 게 스캘핑입니다.

매수부터 매도까지 길어야 5분 남짓인데 지수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는 것이죠.

"기업 분석이 필요 없다."

스캘핑 기법의 핵심은 차트와 수급입니다.

내가 매매하려는 주식의 재무 상태나 업종 전망을 파악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.

어차피 사자말자 길어야 몇 분 뒤에 팔건대 언제 기업의 재무와 업종을 파악하고 있을까요?

이렇게만 보면 장점만 가득해 보이는 스캘핑 기법에는 명확한 단점이 존재합니다.

 

스캘핑 기법의 단점

"말도 안 되게 높은 난이도"

스캘핑을 잘하려면 많은 연습과 숙련도가 필요합니다.

차트 설정과 매도, 매수의 신속성을 얻기 위한 연습과 함께 추세 전환 징후 포착, 거래량을 통한 수급 분석 등과 같은 것들을 몇 초안에 파악하고 매매에 내서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합니다.

그럴 수밖에 없는 게 빠른 의자 결정과 차트만을 계속 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직장인들은 절대 할 수 없고 전업투자자들에게나 적합한 기법입니다.

 

 

참고 : m.blog.naver.com/rmsgud2007/222043227106

 

'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ixelfilmstudios  (0) 2021.06.17
다시 시작하는겨  (0) 2018.04.11
오늘의 한잔  (0) 2014.08.25
그땐 멋있는줄 알았지!  (0) 2012.12.24
최고의 만찬  (0) 2012.11.19